Sports

역폐색과 변압성 현기증이란?

욜로지망생 2023. 7. 10. 01:14
728x90

다이버로써 생각하기에 제일 끔찍한 압력평형 실패라고 생각하는 역폐색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역폐색이란?

2. 원인과 예방

3. 역폐색 발생시 대처법

4. 변압성 현기증이란? (한 귀의 불균등 압력방출)

1. 역폐색이란

본래 상승과정에는 압력평형이 필요하지 않다고 배운다. 상승시 공기가 팽창하며 주변 압력에 맞추기 위해 밀려 나오는데, 아주 드물게 공기가 배출되지 않음으로서 생기는 압력평형의 실패가 역폐색이다.

역폐색은 중이 또는 부비강에서 팽창하는 공기가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부분적으로나 전체적으로 막힐때 발생하며, 상승시 부비강이나 귀에서 통증이 생기고, 상승할수록 통증이 점점 심해집니다.

 

2. 원인과 예방

기도에 생긴 염증으로 인해 생기기도 하며, 감기에 걸렸거나 코가 막혔을 떄에도 생깁니다.

비염약이나, 코 뚫는 약을 복용했을시, 약효가 떨어졌을때 상승시 코가 다시 막히며 발생하기도 합니다.

*충혈완화제(비염약등)를 복용한 경우 다이빙을 하지 않는걸 권장드립니다! 이런 약은 수면에서 더 빠른 화학분해가 일어남으로 예상보다 더 빨리 기도에 부담을 줄 수 있으며, 역폐색의 위험을 야기합니다! 복용후 다이빙시 버디와 강사에게 미리 알리시고 조언을 구하세요*

3. 역폐색 발생시 대처법

첫째, 깊은 수심이 아니라면, 유도줄을 잡고 멈춘다. 수심이 깊을시에는 다이빙 시간이 너무 길어지지 않을 한도 내에서 천천히 상승한다.

둘째, 버디나 세이프티에게 문제가 생겼음을 알린다.

셋째, 막힌 쪽 목을 스트레칭함먄서 턱을 흔들어 막힘이 뚫리도록 해본다.

넷째. 침착하게 최대한 많은 시간을 통증이 사라질때까지 기다린다.

다섯째, 천천히 상승한다.

주의! 절대로 압력평형을 하지 말것! 이미 부비동과 귀 속에는 많은 양의 공기가 들어있으며, 상승하며 팽창한다. 역폐색 발생때 압력평형을 한다는 것은 공기를 더 밀어넣음으로써 상황을 악화시킨다!

 

4. 변압성 현기증(AV)이란?

변압성 현기증이란 상승할떄 양쪽 귀에서 빠져나오는 공기의 양이 달라서 발생하는 압력차이때문에 생기는 현기증이다. 뇌는 이 압력차이가 신체의 움직임으로 잘못 해석하기도 한다.

증상으로는 멀미, 구토, 이명, 막힌 소리가 있다.

양쪽 중이의 온도차이나, 고막파열로 중이에 물이 들어갈때도 이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변압성 현기증 발생시, 역폐색 발생 대처법과 똑같이 대처하도록 한다! (3번 참고)

변압성 현기증을 겪은 후에는 다이빙을 중지하고, 병원에 가야한다!

 

더 궁금하신게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