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놀로지 나스에 있는 폴더를 윈도우 로컬 C 또는 D 드라이브처럼 추가하는 방법을 다뤄보려고 합니다.
우선 패키지 센터에서 WebDav라는 앱을 다운받으셔야 합니다.
WebDav를 실행하시고, 원하시는 포트를 할당해주세요. 보안을 위해 https포트를 설정하는걸 권해드립니다.
위의 작업을 모두 끝내셨다면 로컬 네트워크 밖에서도 접속할 수 있도록 DDNS를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
제어판 > 외부엑세스 > DDNS 에 들어가신후
추가를 눌러주시고
1. 서비스 공급자: 시놀로지
2. 원하시는 나스 도메인 입력 (예: Test) > 후 도메인 선택 (예:myds.me)
3. 확인
성공적으로 추가되었다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위 작업을 끝내셨다면 크롬 또는 웹 브라우저에서 도메인을 입력, 나스로 접속이 되는지를 확인합니다.
(접속이 안될시, 제어판>로그인 포털로 이동해 할당된 포트를 확인, 도메인 주소 뒤에 :포트 를 넣어 다시 확인해주세요)
(포트포워딩을 하지 않으셨을경우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포트포워딩을 하는법은 더 읽다보시면 나옵니다)
(예: test.myds.me / 포트 5000=http, 5001=https일시 test.myds.me:5000 & test.myds.me:5001)
(위 사진에서는 로그인포털에 할당된 포트가 1235 입니다.)
정상적으로 접속이 되는것을 확인하셨다면 포트포워딩 작업을 수행하십시오.
꼭! 나스가 연결되어 있는 라우터에 컴퓨터가 연결되어있어야 합니다.
CMD에서 ipconfig명령어를 이용해 라우터의 IP 주소, 즉 기본 게이트웨이의 IP 주소를 복사해줍니다.
크롬 또는 웹브라우저에서 게이트웨이 IP 주소를 붙여넣고, 로그인해줍니다.
포트포워딩에 들어가서 규칙을 아래와 같이 설정해줍니다.
Rule name: 규칙 이름입니다. 원하시는걸로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Internal IP: NAS>제어판>네트워크>네트워크인터페이스>정적IP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Protocol: TCP
External / Internal ports: Webdav에서 설정한 포트를 입력해주세요
(작자의 경우 귀찮아서 로그인, 웹다브 및 여러 포트를 한번에 전부 설정하였지만 보안상 권고하지는 않습니다)
(외부 접속을 가능하게 하려면 External Port 를, 내부접속은 Internap port를, 둘다 설정하시면 내외부 모두 접속 가능합니다)
포트포워딩을 마치셨다면
내컴퓨터(PC 또는 파일익스플로어) 선택 > 우클릭 > 네트워크드라이브 매핑 > 폴더 항목에 https://도메인:포트 입력
확인을 눌러주십시오.
만약 연결이 되지 않을시 다음을 확인하세요
1) 도메인 및 포트가 정확한지
2) DDNS 즉 도메인이 로그인 포트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3) 라우터에서의 포트포워딩 규칙이 정확한지
4) Webdav에서의 포트가 정확한지
다음에 해당사항이 없다면 댓글을 남겨주십시오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다면 로그인창이 뜹니다. 나스 계정으로 로그인해주세요.
성공적으로 로그인이 되셨다면 내PC 항목에 나스에서 읽기 권한이 있는 모든 파일들이 나옵니다.
이상입니다.
SSL 인증서 무료로 받기 (0) | 2023.06.15 |
---|---|
nslookup 명령어 사용법 및 예시 (도메인과 나스 연결에 문제가 있을시 사용가능) (0) | 2023.06.15 |
DJI FPV 드론 리뷰 (0) | 2023.06.13 |
컴퓨터 부팅시 자동으로 켜지는 앱들 끄는법 (0) | 2023.06.12 |
나스를 이용해 개인 백업 & 기기간 동기화 하는법 Synology NAS (2) | 2023.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