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다이빙과 스쿠버다이빙 중에 제일 많이 일어나는 부상중에 하나입니다.
기술과 숙련도와 상관없이, 몸 상태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균형 이상으로 생기는 부상입니다.
1. 부비강 압착이 일어나는 이유
2. 증상
3. 치료 및 대응
4. 예방
위 순서로 알아보겠습니다.
1. 부비동 압착이 일어나는 이유
우선 부비동 압착은 전두동 (눈썹 위 또는 부근), 상악동 (볼 근처), 등등 여러 곳에 발생하는 압착현상 (압력평형이상으로 인한 부상)을 통틀어서 설명합니다.
압력평형시에는, 고막을 밀어서 고막 안과 밖의 압력을 맞추어 주는것도 있지만, 부비강과 같이 공기가 들어있는 부분에도 공기를 밀어줍니다.
하지만, 콧물, 비염, 감기, 코피, 알레르기, 염증 등이 생기면, 부비강으로 통하는 공기길이 이물질이나 부어오른 살에 의해 막히게되어 압력평형이 되지 않습니다.
위와 같은 이유로, 귀에서 압력평형이 정상적으로 되었다고 느낄지라도, 부비강으로는 공기가 들어가지 않아서 그 부위가 압력에 의해 밀리며 고통을 느낄 수 있습니다.
2. 증상
부비동에 압력평형이 되지 않아서 압착이 생길경우, 이마, 눈썹 부근, 잇몸 윗부분에 바늘로 찌르는듯한 통증이 생깁니다.
바늘로 찌르듯 따끔거리며 아플때도 있고, 또는 부풀어올라 터질듯이 아플때도 있으며, 지끈거리기도 합니다.
부비동 압착이 심할경우, 조직 안 핏줄이 터져 코피가 나오기도 합니다.
3. 치료 및 대응
부비동 압착이 발생했을 시 즉시 다이빙을 멈추어야 합니다!
이미 부비동이 막힌 상태에서는, 애써도 막힌 공기길이 뚫리지 않고, 다이빙을 계속할경우 계속된 자극으로 부비동 압착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수면위로 상승후, 코를 풀어 배출된 물질을 확인합니다. 피가 나오면 부비강의 일부 조직이 상했다는 의미로, 기압성부비강외상이 발생했다는 뜻이고, 이 경우 즉시 다이빙을 중지하세요.
만약 검은 체엑이나 점액질이 나온다면, 과거에 감염이나 감기에 걸렸다는 의미로, 부비강에 직접적인 손상은 없으니 다이빙은 계속해도 괜찮으나, 부비동 조직이 상할 수 있으니, 회복할때까지 다이빙을 중지하는것이 좋습니다.
4. 예방
감기, 알레르기, 염증, 등등 코로 호흡이 어려울경우, 다이빙을 삼가시는것이 좋습니다.
압착예방을 위하여, 수심을 타기 전에는 워밍업으로 천천히 압력평형을 하면서 내려가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비염약과 같이 코 뚫는 약을 먹고 들어가는 방법도 있지만, 시간이 지나 약효가 풀리며 상승시 부비동 공기길을 막아 공기가 팽창하며 조직이 상하거나 고막이 터질 수 있으니 (역폐색) 해외투어나, 급한 경우가 아니면 추천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만약 비염이 있을 시 통솔 강사에게 미리 알리시길 권장드립니다!
다이빙은 자기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이며, 안전이 최우선이니 이를 늘 염두해두고 다이빙하시길 권장드립니다!!
볼링 치는 자세 및 스타일 정리 (0) | 2023.07.11 |
---|---|
역폐색과 변압성 현기증이란? (0) | 2023.07.10 |
프리다이빙 압력평형 방법 & 팁 (발살바, 프렌젤, BTV, 마우스필 간단히설명) (0) | 2023.07.07 |
프리다이빙 수트 구매 요령 & 쉽게입는법 & 주의사항 (0) | 2023.07.05 |
국내 프리다이빙 명소 어청도 (0) | 2023.07.02 |